본문 바로가기

미니멀리즘

[미니멀리즘] 옷장 大정리 비포 애프터

 

 

 

 

 

 

미니멀리즘 외길 인생 어연 십여 년 (응?) 하지만 도저히 간단해지지 않는 내 생활의 몇 가지 영역이 있다. 그중 옷장이 상당히 문제적인데, 꽤 여유 있는 크기의 옷장을 혼자 쓰고 있으면서도 늘 정리가 안되고 옷이 너무 많다. 휴가만 되면 이걸 언제 다 뒤집어엎어서 치워야지 하면서도 늘 미루기 일쑤. 역시나 4월에 있던 이주 휴가 동안에도 옷장 정리를 하지 못했다. 그러다가 감기에 걸려 병가를 내고 일요일과 월요일 이틀 동안 집에 있으면서 일을 벌이고 말았다.

 

옷장 위의 몇 칸이 비어있는 이유는 ...
다 바닥에 던져버렸기 때문이다!
옷장의 오른쪽. 비교적 평화롭다.

 

서랍이 없어서 다 쓴 티슈곽에 속옷 및 옷걸이에 걸기 애매한 옷들을 수납하고 있다. 우연히도 옷장의 폭과 티슈곽 여섯 개의 길이가 비슷해서 사용하기 시작했는데, 티슈곽이 잘 움직여서 그런지 늘 삐뚤빼뚤 어수선하다. 계절이 지나면 안 입는 옷을 옷장의 윗부분에 올려놓는데 역시 서랍이 없기 때문에 신발 상자나 티슈곽을 이용한다. 일 년에 두 번 정도 계절옷을 정리하는 게 생각보다 참 번거롭다. 아무튼 어제는 우선 정리가 되어있지 않은 물건들을 일단 다 방바닥에 내동댕이쳤다. 설마 내가 이 상태로 계속 살지는 못하겠지 하며, 미래의 나에게 일을 떠넘겼다. 일은 벌여놨지만 막막한 기분에 한동안 옷들을 여기저기로 옮겨보기만 하다가 인터넷 검색에 들어갔다. 검색어는 미니멀리즘 옷정리 팁. 내가 전에 블로그에 올렸던 도 복습하고 여러 페이지들을 섭렵해서 얻은 꿀팁 몇 가지:

 

1. 옷장 안을 세밀히 파악할 것

- 옷장 안의 옷을 다 꺼내본다.

- 옷 목록을 작성해 본다. 이거 해보고 싶었는데 까먹고 못함. 엑셀 파일로 만들어보고 싶다.

- 세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기: 기부/판매/입을 옷

- 입을 옷은 다용도로 활용가능하고, 입어서 보기 좋고, 기분 좋은 옷만 남길 것

 

2. 자신의 스타일을 확립할 것.

- 입어서 가장 나답게 느끼는 스타일의 옷만 소유하기. '각. 간지. 간단'이라고 내 스타일을 정해보았다. 각 잡힌 정장 스타일이나 개성적인 옷, 아니면 미니멀한 디자인의 옷이 나다운 듯.

- 자신만의 스타일을 찾는데 도움 되는 몇 가지 질문들:

   1) 어떤 소재의 천이 가장 편하게 느껴지는가? 무조건 가벼운 옷이 편하다.

   2) 어떤 색과 패턴, 액세서리가 가장 나다움을 표현해 주는가? 검정, 베이지, 녹색, 파랑이 나다운 색 같고, 패턴이나 로고가 없는 무지, 심플한 액세서리가 좋다.

 

3. 제일 좋아하는 다섯 개의 착장을 추려볼 것.

  - 그 다섯 착장만 돌려 입거나 응용해도 충분하다. 이건 아직 못해봄. 하지만 다섯 벌이라는 한계치가 생겨서 좋다.

 

4. 현재 안 맞고, 불편하고, 잘 안 어울리는 것은 다 처분할 것.

  - 한 사이즈만 남기고 지금 당장 맞지 않는 옷들은 처분할 것. 이걸 보고 한 사이즈 작은 스키니진을 처분하기로 결정!

 

5. 부정적인 감정을 조금이라도 들게 하는 옷들은 옷장에서 뺄 것.

- 죄책감, 슬픔, 불쾌함을 조금이라도 느끼게 하는 옷은 처분할 것. 편하지만 낡은 옷들이 많았는데 내가 나 자신을 소중하게 여기지 않는 것 같은 기분이 드는 옷들은 처분하기로 했다.

 

6. 모든 옷을 한 곳에 보관할 것.

- 계절마다 정리할 필요가 없도록 모든 옷을 한눈에 보이게 할 것. 이건 아직 실행하지 못했다. 결국 여름옷은 상자에 넣어서 옷장 위에 올려놓음. 언제쯤 전계절 옷을 옷장 밑에 다 수납할 수 있을는지.

 

7. 색상을 두세 가지로 제한할 것. 네 가지로 제한했다. 검정, 베이지/갈색계열, 어두운 녹색계열, 파란색계열.

 

8. 종류별로 한 두 가지만 남길 것

- 예를 들어 검정 청바지는 한 두 벌만 남기고 나머지는 처분할 것. 한동안 중고가계에서 검은색 청바지만 사고 돌아다녔다. 거기다가 오래된 청바지도 아직 가지고 있다. 처분할 수는 있지만 팔거나 기부하기에는 낡아서 내가 끝까지 입고 처분하기로 함. 더는 안 사야지.

 

9. 액세서리는 다 처분하거나 하나만 남기고 다 처분할 것. 이거 힘들다. 목도리랑 모자가 넘치게 많다.

 

10. 전체 옷 개수를 옷장 사이즈에 맞출 것. 옷장의 70%만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. 지금은 80%?

 

이렇게 검색한 내용을 정리를 한 후에 그것에 성취감을 느껴버려서 어제는 그냥 이 상태로 내버려 두었다. 오늘 오후까지 미루고 미루다가 도저히 이렇게 두고는 못 살 것 같아서 (어제의 내가 옳았다 ㅎㅎ) 몸을 움직이기 시작했다. 배경음악으로 정리에 관한 유튜브 비디오를 틀어두었다.  검색해서 배운 내용을 다 실천하지는 못했지만 꽤 많은 양의 옷을 처분하기로 마음먹고 큰 비닐봉지에 담았다.

 

고양이도 놀랜듯. 맨 윗칸 왼쪽 상자가 여름옷

 

중간에 화장품을 두는 칸은 여전히 지저분한 게 눈에 띄지만 그 밑의 두 칸은 현저하게 깔끔해졌다. 원래 미니멀리즘의 상징 같은 빈칸을 갖기 위해서 한 칸은 비워두었는데 무리였던 것 같다. 큰 비닐봉지에는 엄마가 주신 이불도 들어있는데 이불 몇 개를 옷장에서 뺐더니 공간이 많이 비었다. 이불 생각은 미처 못했네.

여기로 옷을 좀 더 옮겼는데 너무 꽉차서 아쉽다

 

맨 윗칸의 대부분은 빈 티슈곽들

 

걸을 수 없는 여름옷 몇 벌은 신발 상자에 담아서 맨 위칸 왼쪽에 올려놓았다. 그 옆에는 빈 티슈곽들을 놓았는데 지금 사용하는 티슈곽들이 못쓰게 되면 교환할 용으로 남겨두었다.

 

지금 다시 비포/애프터 사진을 보니 뭐 별로 대단하게 바뀐 게 없어서 좀 멋쩍다. 포스팅할 정도는 아니었나 싶지만, 큰 비닐봉지 속에 들어있는 한 무더기의 옷들과 이불을 보니 속이 시원하다. 내가 왜 이것들을 끌어안고 살고 있었을까? 옷장 정리가 처음은 아니기 때문에 나는 잘 알고 있다. 지금의 상태가 오래가봤자 겨우 일이 주 유지되고 다시 또 붕괴될 것이라는 것을. 하지만 최소한 다음 휴가까지는 옷장 정리를 할 짬이 나지 않을 것 같다. 그리고 계속 이렇게 정리만 하면서 살고 싶진 않다고! 그래서 간구한 대책 몇 가지:

 - 각각의 티슈곽에 거기에 들어갈 옷을 써 놓는다. 모든 옷에 '집'을 정해준다.

 - 한 번이라도 입었다가 벗고 다른 옷으로 갈아입은 옷은 메모해 뒀다가 처분한다. 뭔가 하나라도 찜찜한 옷은 처분하자.

 - 최애 착장 다섯 벌 정해보고 거기에 포함되지 않는 옷들은 처분을 고려하자.

 - 일주일에 한 아이템씩 처분하기: 토요일 오후에 낡은 양말이나 속옷부터.

 - 당분간 쇼핑 금지!

 - 옷 선물은 거절하기. 옷장 속에 걸려있는 옷 중에 의외로 선물로 받은 옷이 꽤 많았다. 마음은 너무 고맙지만 부드럽게 거절해야 한다.

 

 

다음 옷장 정리는 과연 언제 하게 되려나? 언젠가 반쯤 홀쭉해진 옷장 사진을 블로그에 올리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