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미니멀리즘

[미니멀리즘] 온라인 집들이

노트북에 있던 예전 집 사진들을 정리할 겸 여기에 옮겨본다. 2013년부터 자칭 미니멀리스트로 살기 시작했는데 2021년에 독립을 하면서 미니멀하게 집을 꾸밀 생각에 들떠 있었던 기억이 난다. 가족에게 받거나 내가 쓰던  몇 개의 가구만 옮겨오고 그 외에는 최소한의 (지금은 증식했지만) 생활용품만 집 안에 들였다. 막 이사한 후 찍은 사진들인데 지금과는 많이 다른 가구 배치를 다시 보니 그때의 설레었던 기분이 되살아난다.

 

큰 방에는 붙박이장이 있다. 지금도 옷방과 운동방으로 쓰는 중
작은 방에는 다른 가구없이 책상만 놓았었다.
책상이 너무 작아서(물건이 많아서) 얼마 후 긴 테이블로 교체했다

 

 

처음에는 식탁이었지만 지금은 책상으로 쓰고 있는 테이블
왼쪽의 서랍장은 처음에는 신발장이었다가 지금은 다른 용도로 쓰고 있다.

 

현관문을 열면 보이는 풍경. 화분과 소파의 위치는 지금도 그대로이다.

 

당시에 한 인테리어 책에서 현관문을 열었을 때 사선으로 시선이 가는 곳에 있는 물건이 집의 인상을 결정한다고 쓰여있었다. 그래서 현관에서 사선의 위치에는 무언가 특별한 것을 배치하려고 하는데 쉽지가 않다.

이사 하기전에 열심히 읽었던 책

 

한동안 고장난 사일런트 기타를 장식품같이 놓아두었었다.

 

 

인테리어 책에서 집을 갤러리로 생각하고 물건을 배치하라는 내용을 읽고는 예쁜 그릇이나 과일을 여기저기 장식해 보려고 노력했었다. 그 노력이 오래가진 않았는데, 어떻게 배치해도 뭔가 어설프고 부자연스러웠다. 카페나 갤러리의 장식품들은 참 자연스럽게 보이는데, 역시 탁월한 미적 감각이 바탕이 돼야 하는 것 같다. 미적 감각이 없는 난 그냥 여백의 미를 즐기는 게 최선이라고 결론지었다.

 

* 느닷없는 양심선언

깔끔한 곳 사진만 찍어서 올리는 것에 살짝 양심의 가책을 느낀다. 이사를 처음 왔을 때부터 지금까지 붙박이장에는 옷이 가득 걸려있고 책상 위에는 늘 종이가 어수선하게 쌓여있는 데다 세탁실 선반에는 책이 어지럽게 꽂혀있다. 큰 가구만 없을 뿐이지 자잘한 물건들은 전혀 미니멀하지 않다. 미니멀리즘을 실천하겠노라 결심한 지 10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갈 길이 멀다.